부산시, 상담센터 등 전문기관 통해 게임중독 부작용 대책 마련하기로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중독(게임이용장애)을 질병으로 분류한 가운데 부산시는 게임산업 육성을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13일 밝혔다. 게임에 대한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게임 산업을 성공적으로 키우겠다는 것이다.
부산시는 이날 “게임은 4차 산업혁명시대 필수 성장 동력”이라면서 “게임산업을 계속 육성하는 한편, 부작용은 확실히 검토해 우려를 잠재울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WHO는 지난달 25일 게임중독을 포함한 제11차 국제질병분류(ICD)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로써 게임중독은 정신적, 행동적, 신경발달 장애 영역의 하위 항목인 ‘6C51’라는 코드를 얻게 됐다. WHO 회원국인 한국은 한국표준질병분류(KCD) 반영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만약 한국이 ICD를 따른다면, 오는 2026년부터 KCD에 반영된다.
게임중독 질병코드 부여를 놓고 찬반이 격렬하게 대립했다. 국내 게임 업계는 물론 문화체육관광부 등 게임 관련 정부 부처에서 강하게 반발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게임 규제가 늘어날 경우 국내 게임 산업 손실금액은 2025년 5조2500억 원에 달한다. 반면 국민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복지부는 이를 환영하는 모양새다.
이처럼 정부 관련 부처가 서로 다른 목소리를 내는 가운데 이목은 부산시로 향했다.
부산시는 명실상부 국내 대표 게임 도시로 게임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부산시는 지난 2009년부터 글로벌 게임전시회 지스타를 매년 개최하고 있고, 지난 2016년에는 지자체 가운데 처음으로 아마추어 E스포츠 선수단인 ‘GC부산’을 창단했다. 오는 2020년에는 부산진구 서면에 400석 규모를 갖춘 E스포츠 상설경기장도 들어선다.
부산시는 게임 부작용에 대한 대책을 확실히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순기능은 높이고, 부작용은 낮춰 두 마리 토끼를 전부 잡겠다는 것.
부산시는 우선 ‘부산 게임 과몰입 상담치료센터’의 역할을 더욱 확대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게임중독 청소년을 위한 ‘학교·보호자 연계 프로그램’, 게임의 긍정적인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게임문화교실’ 등을 도입해 게임 부작용 줄이기에 주력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2015년 문을 연 부산 게임 과몰입 상담치료센터에는 전문 임상심리사와 상담사가 상주하고 있다.
아울러 부산시는 게임 부작용과 관련해 게임 기관 및 학계와의 협력도 강화하기로 했다. 부산정보산업진흥원, 부산게임협회 등 유관기관과 함께 게임 부작용을 연구하고,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송종홍 부산시 영상콘텐츠산업과장은 “진흥과 규제는 균형 잡힌 시각에서 결정해야 한다”며 “일부 우려에 대해 대책을 확실히 마련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게임산업이 부산의 확고한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