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영화 '1987'에서 할 일 하면 언젠가는 달라질 거라는 희망을 봤다 / 윤민영
영화 <1987>은 개봉 전부터 꼭 봐야겠다고 생각했던 영화다. 물론 어느 정도 각색이야 있겠지만, 우리나라에 한 획을 그었던 역사적 사실, ‘6월 민주항쟁’을 소재로 한 영화였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이자 믿고 보는 배우 ‘김윤석’이 출연한 영화였으니 더욱 그러했다. 그리고 <1987>을 보고 나오니, 역시 내가 본 영화 중 최고의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흔히 말하는 ‘국뽕 영화’를 좋아한다. 많은 영화를 본 것은 아니지만, 어릴 때 봤던 <태극기 휘날리며>를 시작해서 <화려한 휴가>, <연평해전>, <인천상륙작전>, <귀향>, <동주> 등이 그런 영화들이었다. 이런 나에게도 <1987>은 특히 더욱 와 닿았다. 무언가 나를 깨우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다른 국뽕 영화와는 달리, 아직까지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비교적 최근의 일을 다룬 영화였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1987>은 영화의 주제 뿐만 아니라 출연진 라인업부터 화제를 모았다. 주연급 배우들을 모으고 또 모았다. 그래서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이 한 영화에 힘을 합쳤다. 더 놀라운 것은 특별출연한 배우들이다. 설경구, 강동원, 오달수, 문소리, 여진구, 고창석, 우현까지 특별출연으로 합세했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역사를 바꾼 중대한 진실을 열연하는 데 그들의 연기력은 더욱 빛 났다. 배우들의 열연은 영화의 몰입도를 더 높였다.
영화 <1987>에서 경찰의 고문으로 사망한 고 박종철 열사의 고문치사 사건을 당시 정부가 은·엄폐하려는 장면을 보고 화가 치밀어 올랐다. 이 사건을 덮기 위해 검찰은 물론이거니 전두환 대통령까지 개입하는 걸 보니 당시 시대가 어느 수준이었는지 간접적으로나마 느낄 수 있었다. 그러다가 일이 잘 풀리지 않자, 정권의 하수인들을 토사구팽하는 정부를 보고 더 이상 그런 정부를 정상적으로 생각하기를 포기했다.
영화를 보고서 특히 기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됐다. 영화 속의 기자들은 유도심문 과정에서 고 박종철 열사가 경찰에 의해 사망했음을 직감하고 이를 보도한다. 윤상삼 기자는 고 박종철 열사의 죽음과 관련한 내용을 언급하는 중앙대 오연상 교수의 발언에 의구심을 품는다. 그리고 화장실에 숨어 있다가 부검 중 화장실에 나온 오 교수에게 진실을 듣고 이를 보도한다.
또 전두환 정권 당시 전대미문의 언론 탄압의 흔적도 여럿 등장한다. 바로 ‘보도 지침’이 칠판에 커다랗게 써 있는 장면, 정부가 각종 언론사의 신문을 집어들면서 “받아쓰기 잘 했나 볼까”라고 말하는 장면 등이다. 이후 동아일보 사회부장 역을 연기한 고창석이 칠판을 거칠게 지우며 “경찰이 고문해서 대학생이 죽었는데 보도 지침이 대수야? 앞뒤 재지말고 들이박아!”라고 소리치는 장면을 보고 진정한 언론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현직 기자 뿐만이 아니었다. 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동아일보 해직 기자 이부영은 교도소 내에서도 끝까지 진실을 밝히려고 힘썼다.
기자들만의 일이 아니었다. 6월 민주항쟁을 이끈 대학생들의 모습은 진정 ‘지성인’의 모습이었다. 그들은 총과 최루탄을 든 군·경 앞에서 절대 굴하지 않았다. 끝까지 싸웠다. <1987> 속에서 대학생들은 ‘진실을 보여드리겠다’며 5·18 민주화 운동 영상물을 상영하는 등 투쟁 의지를 보였다. 이들은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며 총과 최루탄을 든 군·경에 끝까지 맞섰다. 고 이한열 역사를 열연한 강동원은 최루탄을 발사하는 군·경을 상대로 끝까지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며 걸어나갔다. 결국 그는 최루탄에 머리를 맞아 피 흘리며 쓰러졌지만, 끝내는 독재 정권을 몰아냈다. 이런 것이 진정한 지성인으로서 갖춰야 할 모습이었다.
나는 지금 대학생이다. 대학생이면서 언론인을 꿈꾼다. <1987>을 보면서 많은 것을 느꼈다. 대학생으로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또 언론인으로서 내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를 말이다. 나는 처음에 학보사 기자로 활동했다. 나는 학내 폐과 사건, 경찰서장 성추행 사건 때 끝까지 비집고 학교 본부와 경찰서에 찾아가 카메라와 녹음기를 들이밀었다. 그후 아무리 노력해서 취재하고 보도해도 달라지는 게 없어 기자로서 회의감을 느끼고 있었다. 그런데 영화 <1987>을 보고 생각이 달라졌다. 당장 달라지는 게 없더라도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내 위치에서 하다보면 언젠가는 달라질 것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