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3명 중 1명 "내 집 마련 필요성 못 느껴"...집값 너무 비싸 포기
주택 구입자금 부담 가장 크고, 가장 바라는 것은 전세 자금 대출 지원
청년 10명 중 4명은 내 집을 꼭 마련하지 않아도 상관없다는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그중 대부분은 집을 마련하는데 드는 비용이 너무 과다한 것이 문제라고 응답했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청년층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보고서(변수정∙조성호∙이지혜 연구위원)에 따르면, 내 집 마련이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청년의 비율이 2010년 이후 꾸준히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 마련에 대한 응답은 매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경제 상황이나 부동산 시장 등에 빠르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는 청년은 2017년 63.7%로 전년 59.2%보다 4.5%P 상승했다. 이들 중 88%가 내 집 마련이 필요한 이유를 주거안정 차원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내 집 마련이 필요 없다는 응답자는 3명 중 1명꼴인 36.3%에 이르렀다. 이 중 53.6%는 소요자금이 너무 많다고 답했다. 2010년 당시에도 34.7%로 응답자 중 가장 큰 원인이었는데, 2016년 39.1%였던 비율이 2017년 53.6%로 14.5%P 급증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소요자금 문제를 지적하는 응답자가 많은 것은 너무 높은 비용을 치르면서까지 집을 소유해야 한다는 것에 청년들이 의문을 갖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주택을 마련하고 싶어도 마련하지 못하는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밝혔다.
청년층에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 프로그램을 묻는 질문에는 전세자금대출 지원이 30.7%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월세 보조금 지원 24.5%, 주택 구입자금대출 지원이 15.5%였다.
그러나 청년층 대부분은 주거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수의 인원이 전세자금대출 지원이나 구입자금대출 지원 등을 받았으나, 이들은 결혼 시 신혼집 마련을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전체의 10%도 안되는 응답자만 주거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2.5%의 응답자가 공공임대주택 지원 프로그램을 이용했고, 2.0%가 전세자금대출 지원을, 1.3%가 구입자금대출 지원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청년들이 현재 경험하는 주거환경이나 주거비 부담이 결국 결혼과 연관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청년층을 위한 지원을 마련할 때는 기성세대의 시각을 벗어나, 유연성을 겸비한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