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탈부산 러시 심각...대안은 있을까?
“부산에는 마땅히 일할 곳이 없어.” 오랜 취업 준비 끝에 서울로 취직한 친구의 말이다. 친구는 부산에서 일하고 싶었지만 선택지가 별로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탈부산 현상은 친구에게만 국한된 일은 아니다. 이미 많은 부산 청년들이 부산을 떠났고, 남아 있는 청년들도 탈부산을 고민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부산은‘청년 소멸 도시’라는 불명예가 더욱더 선명해질 것이다. 지금이라도 부산의 미래인 청년들을 붙잡을 청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
행정안전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부산에 거주하는 15~39세 인구는 2008년 134만 1151명에서 2018년 106만 5107명으로 20%가 넘게 급감했을 정도로 탈부산 현상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대는 일자리 문제로 30대는 주거 불안정을 이유로 부산을 떠나는 상황이다.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는 청년들이 하나둘 떠나면서 부산의 출생률 역시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이러한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지만 이를 막을 마땅한 대책이 없다는 게 부산의 가장 큰 문제다.
아이러니하게도 부산시는 매년 새로운 청년 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청년 정책 로드맵, 청년 지원팀, 2019부산청년주간 등 다양한 정책과 행사가 있지만, 부산 청년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은 부족하다. 우선, 정책의 존재 여부조차도 모르는 청년들이 많다. 아무리 좋은 청년 정책이 있다고 해도 제대로 된 홍보가 없다면 그저 빛 좋은 개살구에 불과하다. 단순히 정책을 내놓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그 정책들이 청년에게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일자리 문제 외에 제대로 된 청년주거대책도 부족하다. 부산시가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의 주거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부산시청 앞 부지에 행복주택을 짓겠다고 했지만, 이마저도 인근 주민들의 반대에 막혀 당초 계획이 변경되는 등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행복주택 사업은 애초에 인근 주민들과의 갈등이 불가피한 사업이다. 이를 부산시가 몰랐을 리 없다. 그럼에도 계획을 변경했다는 것은 부산시의 태도가 안일했거나 주민들과의 협상에 실패했기 때문일 것이다.
이처럼 청년 일자리 정책과 청년주거대책의 부재로 부산 청년들은 오늘도 탈부산을 고민하고 있다. 지금 부산시에 가장 필요한 것은 부산 청년들의 탈부산 고민을 잠재울 수 있는 맞춤형 청년 정책이다. 시에서 주도하는 청년 정책과는 별개로 각 구청이 나서서 청년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 수요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사는 동구에는 도서관이 한 곳밖에 없는데 그마저도 협소한 편이다. 그 때문에 취준생이 공부할 수 있는 장소가 턱없이 부족하다. 나 역시도 집 근처 카페를 이용하거나 학교 자습실까지 와야 할 때가 많다. 이러한 수요를 구청에서 미리 파악하고 구청 내에 동구 취준생들을 위한 독서실을 마련하거나 독서실 비용을 지원하는 등 동구만이 할 수 있는 작은 정책이 필요하다.
물론 이런 작은 정책이 당장의 큰 변화를 끌어낼 수는 없다. 하지만 적어도 부산 청년들의 수많은 고민 중의 하나는 덜어줄 수 있다. 그리고 사소한 것이지만 부산 청년들을 위한 여러 정책이 있다는 사실을 청년들이 몸으로 깨달을 수 있다. 이는 부산시의 다른 청년 정책에 대해 부산 청년들의 관심을 끌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 작은 정책은 취직을 앞둔 청년들의 심리적 안정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 취업을 앞둔 내 경우만 봐도 자격증 공부, 어학 점수, 부모님의 기대 등 이미 고민으로 가득한 상황이다. 이처럼 해결할 수 없는 고민이 쌓이기만 한다면 이는 심리적 불안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때 구청 차원의 정책이 청년들의 작은 고민을 하나씩 해결해 준다면 큰 고민을 해결할 수 있는 원동력을 청년들에게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미 시작된 청년들의 탈부산을 하루아침에 막기란 사실상 불가능하다. 청년 일자리 정책이나 청년주택대책과 같은 정책으로도 해결하기 쉽지 않다. 하루아침에 바꿀 수 없다면 부산 청년들의 피부에 와 닿을 수 있는 작은 정책부터 만들어나가야 한다. 인내가 필요한 정책이 되겠지만, 부산시는 청년이 떠난 도시에 미래는 없다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편집자주: 위 글은 독자투고입니다. 글의 내용 일부는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