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를 이용할 것인가, 정보에 이용당할 것인가
정보 사회의 문제점을 꼬집은 소설 ‘1984’ 정보 독점으로 사회를 지배하는 빅 브라더 아는 것이 곧 힘이면 모르는 것은 곧 죄다 정보 사회를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떤가
일거수일투족이 누군가에게 감시되고 통제되는 세상에서 우리는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기술의 발전으로 곳곳에 CCTV가 설치되고, 핸드폰으로도 손쉽게 위치 추적이 가능해진 정보 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는 그리 멀지 않은 때에 닥칠 현실일지도 모른다. 조지 오웰의 ‘1984’는 그 모습을 여과 없이 담은 소설이다. 소설 속에서 사람들은 24시간 송수신이 가능한 텔레스크린을 통해 사생활을 감시당하며 살아간다.
나의 선호가 빅 데이터라는 명목으로 수집되고, 앱을 사용할 때 위치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것은 기본, 노트북을 사면 화면에 딸린 카메라에 포스트잇을 붙여 두는 게 당연한 일이 됐다. 우리는 이미 누군가에게 감시당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속에서 살고 있는 것이다. 단지 상상이었던 먼 미래의 소설이 어느새 현실에 성큼 가까워졌다.
‘1984’는 정보 사회가 도래함으로써 인류가 품은 온갖 우려를 한데 모은 듯한 디스토피아 소설이다. 전체주의 국가를 통치하는 정체불명의 독재자 ‘빅 브라더’는 오늘날 정보 사회를 몸소 겪으며 살아가는 우리에게 정보 독점으로 사회를 통제하는 권력을 일컫는 말이 됐다. 빅 브라더가 단지 책 속의 가상 인물에 불과할 뿐이라고 할 수 있을까? 나는 정보 격차 속에서 상위에 있는 소수 집단을 현대 사회의 빅 브라더라고 말하고 싶다. 정보 사회에서는 정보가 곧 돈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빈부 격차가 발생하듯, 정보 사회에서도 정보 격차가 발생한다. 정보 격차는 다시 빈부 격차를 불러온다.
얼마 전, 가입만 하면 돈을 준다는 어떤 앱의 마케팅에 사람들이 물밀듯 회원가입을 했던 적이 있다. 며칠 후, 별생각 없이 썼던 개인 정보들이 이곳저곳에 팔렸다는 사실을 알아챘을 땐 이미 늦은 상태였다. 우리의 하루하루가 방대한 정보가 되고 있다. 그 정보들이 어디로 가고, 어디에 이용되고 있는지 늘 관심을 가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빅 브라더에 의한 통제 속에서 살아가게 될지도 모른다. 쏟아지는 정보의 대홍수에 그저 휩쓸려 갈지, 배 위에서 원하는 것만을 낚을지는 앞으로의 우리 모두에게 주어질 과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