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안 심는' 식목일...시기 앞당기자는 목소리 많아
식목일, 우리 민족사와 농림사상과 연관 나무 심기에는 늦어 앞당기자는 여론 많아 역사 깊고 상징성 높아, 지자체별 '탄력 운영'
4월 5일, 오늘은 제79회 식목일이다. 나무 심기를 통해 국민의 나무 사랑 정신을 북돋우고 산지의 자원화를 위해 1949년부터 시작된 국가기념일이다.
식목일이 4월 5일로 정해진 것은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식목일은 민족사와 농림사상에 밀접한 날이기 때문이다.
4월 5일은 농사력에서 가래질을 시작하며 논농사 준비를 시작한다는 청명(靑明)과 시기가 비슷해 나무를 심기에 좋은 날이며, 신라가 당나라 세력을 몰아내고 삼국통일을 달성한 날이다. 또, 성종이 선농단에서 제사를 지내고 직접 밭을 일궜던 날이기도 하다.
식목일이 공휴일로 지정된 1949년 이후 공휴일 지정이 취소됐다가 부활하는 등의 과정을 지나 2005년부터 국가기념일의 지위는 유지하되 공휴일에서는 제외됐다.
최근에는 기후 등의 이유로 식목일을 앞당기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림청은 “지속적인 봄철 기온 상승과 이로 인한 나무의 생리적 변화를 고려해 식목일을 앞당길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다”라고 밝혔다.
나무는 묘목에서 잎이 나기 전에 심어야 뿌리에 영양공급이 잘 되는데 최근 식목일 즈음에는 이미 잎이 난 묘목을 심어야 하기에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1940년대의 서울 평균기온은 기후변화로 크게 높아지기도 했다. 이에 식목일을 아예 UN이 정한 ‘세계 산림의 날’인 3월 21일로 옮기자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로 나무 심기 행사는 지자체별로 ‘중구난방’이다. 대한민국 최남단인 서귀포시에서는 식목일을 한 달가량 앞둔 3월 7일에 나무 심기 행사가 진행됐고, 광주는 지난 3월 22일, 부산은 3월 23일 등 대부분의 지자체는 식목일 이전에 나무를 심었다.
식목일을 앞당기려는 시도는 있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인 2009년에 식목일 변경안이 국무회의에 상정됐지만, 식목일이 가진 상징성을 고려해 지자체별로 탄력적으로 운영하자는 결론이 나왔다. 역사가 깊은 국가기념일이기에 변경할 시 불필요한 비용과 행정력이 낭비될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식목일이 가진 상징성과 효율성이 대립하는 형국이다. 그러나 양쪽 의견 모두 나무를 심는 것의 중요성에는 동의하고 있다. 무엇이 됐든, 나무를 심어 우리 산림을 보존하자는 식목일의 의의만큼은 계속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