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모)한 경쟁
과연 무한경쟁의 시대인가?
생존경쟁, 먹이경쟁, 짝짓기경쟁. 순위경쟁, 성적경쟁, 입시경쟁, 스펙경쟁, 입사경쟁, 실적경쟁, 연봉경쟁, 매출경쟁, 군비경쟁, 정쟁(政爭), 시청률경쟁, 지하철자리경쟁. 선뜻 머리에 떠오른 경쟁들을 나열해 보았다. 이런 식의 나열이 경쟁이 무한하다는 걸 증명해줄 순 없지만, 아이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사는 동안 피해갈 수 없이 무시로 만나게 되는 온갖 경쟁이 다 있는 걸로 봐서, 일단 무한경쟁의 시대라고 인정하기로 하자.
경쟁은 필연적인가?
생명이 있는 곳에 경쟁은 늘 존재해왔다.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1859)을 통해 주어진 환경에 적절히 적응한 종만이 살아남고 나머지는 사라진다는 ‘적자생존’과 ‘자연도태’의 법칙을 설파한 이래, 과학은 동식물은 물론이고 단세포 생물 조차도 경쟁을 통해 생존하고 진화해왔다고 말한다. 심지어 분자수준에서 조차도 상호경쟁이 존재하며 이런 경쟁을 통한 선택이 없어진다면 생명활동이 정지되고 만다는 글도 읽은 적이 있다. 이쯤 되면 경쟁이 필연적이고 생명에 필수적이라는 것도 인정해야겠다.
경쟁은 효율적인가?
경쟁을 옹호하는 가장 주요한 논거 중 하나가 경쟁이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활어를 원거리 수송할 때 천적을 함께 넣어 수송하면 고기들이 천적에게 먹히지 않으려고 도망 다니느라 목적지까지 팔팔하게 살아서 도착하게 된다는 얘기나, 미꾸라지를 양식할 때 메기를 함께 넣으면 성장도 번식도 잘한다는 따위의 얘기들을 한 번쯤은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이런 얘기가 아니라도 경쟁의 효율성은 도처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스포츠 분야나 기업 분야에서 경쟁이 어떤 성과를 내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살아오면 경쟁심으로 인해 스스로 분발해보았던 경험 또한 누구나 가지고 있을 것이다. 그러니 이것도 인정할 밖에.
경쟁으로 충분한가?
경쟁이 생존의 필요조건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생명체는 경쟁만으로는 생존도 진화도 할 수 없는 존재다. 곤충에서부터 인간에 이르는 다양한 생명체의 진화를 추적했던 크로포트킨은 13년에 걸쳐진 그의 연구를 집대성한 상호부조론(1902)에서, 협력과 상호부조 없이는 생명의 진화도 없다고 주장하면서 다양한 생물들이 보여주는 협동과 상호부조의 사례를 넘치도록 제시한 바 있다. 또한 미생물학자 마굴리스에 따르면, 세포 내의 에너지 발전소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는 잡아먹힌 박테리아가 잡아먹었던 박테리아의 체내에서 그대로 살아남아 두 개체가 서로 공생하게 되면서 생겨난 것이라 한다. 즉 생명체를 구성하는 핵심인 세포가 공생과 협력 위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왜 무한경쟁이 난무하나?
경쟁은 누구에게나 스트레스다. 무한경쟁 상황이라면 더 말할 필요도 없다. 삶은 그야말로 스트레스의 연속일 수밖에 없고 설사 현재 경쟁력을 갖고 있는 자들조차도 언제 도태될지 모를 불안과 긴장 속에서 살아야 한다. 무한경쟁은 지속가능한 경쟁도 아니다. 왜냐하면 인간의 신체와 정신은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정상적으로 견뎌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약육강식이 지속되어 약자가 모두 사라진다면 강자 또한 사라져서 인간 공동체는 존재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의 선택은?
상호불신을 상호신뢰로 바꾸기는 어렵다. 자신의 이기심을 버리는 일은 더 어렵다. 결국 단기간에 현재의 무한경쟁 상황이 변화되거나 완화될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 따라서 불행하지만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되도록 경쟁을 회피하는 것도 한 방법이 되겠지만 그것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보다는 생존에 필요한 개인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준비하는 것이 보다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