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사회연구 논문 발표....2021년 조사 결과, 35.4%가 남성 난임 환자
"의료, 보건, 직장 등 남성에게도 난임 치료 지원될 수 있도록 해야"
저출산 고령화가 국가적 재난 수준으로 대두되는 요즘, 저출산 문제에 상당 부분 기여하고 있는 난임 문제에서 여성에 비해 남성이 의료적, 제도적으로 어려움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15일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성균관대 문은미·김민아 연구팀이 논문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게재했다고 밝혔다. 난임은 12개월 이상 피임 도구 없이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며 임신을 시도했지만, 임신에 실패한 경우를 말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난임 치료를 받은 환자는 약 25만 2,000명이다. 남성 난임 환자는 전체의 35.4%로 약 9만 명에 이른다.
연구팀은 남성 난임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난임 시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33∼43세 기혼 남성 8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그 결과 남성들은 ▲난임 진단 직후 복합적 감정 경험 ▲가족들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배우자와의 관계 악화 ▲난임 시술 공개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 ▲사회적 지지체계 현상 등을 공통으로 경험했다. 남성 참여자들은 "난임 진단을 받고 아이를 가질 수 없을지 모른다는 충격과 두려움을 느꼈고, 남성 난임이라는 사실에 수치심을 느꼈다"고 답했다.
난임 시술 과정 대부분이 여성의 신체 내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남성은 부수적인 존재로 인식돼 난임 남성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논의는 늘 외면받아 왔다.
이에 연구진은 난임 시술을 경험한 남성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인터뷰에 참여한 남성들이 겪은 고충은 ‘아이를 갖지 않은 부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스트레스를 받음’, ‘아이를 가질 수 없을지 모른다는 충격과 두려움을 느낌’, ‘남성 난임이라는 것이 수치스럽고 자존감이 낮아짐’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인터뷰에 응한 남성 대부분이 남성 난임 진단을 받은 후 수치스러운 감정을 느꼈다고 답했다. 사회에서 요구하는 남성성을 상실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이들은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나타나는 여성 난임과 비교해 남성 난임에 대한 타인의 편견과 부정적인 인식으로 인해 남성으로서 가치를 낮게 느꼈다고 대답했다.
참가자 중 일부는 사회생활과의 병행이 어려운 것이 가장 힘들다고 했다. 한 참가자는 "보통 시험관 아기 시술 일정은 직전에 결정되기 때문에 휴가 일정을 회사에 미리 고지하고 사용하기 어려웠다"며 "근무하는 직장에서는 난임 휴가에 관한 규정이 마련되지 않아 난임 시술 목적으로 휴가를 사용할 수 없는 대신 개인 연차를 사용해야 했다"고 호소했다.
모든 연구 참여자는 난임 시술비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주는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특히 난임 시술 급여 중 남성을 대상으로 하는 인정 급여는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 이마저도 여성의 보조생식술 시술 시행 후 차수가 적용될 때까지만 급여 적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참가자들은 비교적 난임 휴가 규정이 잘 마련되어 있는 직장을 다니는 경우라고 해도, 여성 중심의 난임 치료 휴가 체계가 구축되어 있어 시술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기는 어렵다고 토로했다. 예를 들어 고환 채취술을 받는 경우 일주일 가량의 휴식이 필요하지만, 난임치료 시술 휴가는 하루만 사용할 수밖에 없어 충분히 체력을 회복하기 힘들다고 답변했다.
연구팀은 "현재 모성 기준으로 마련되어 있는 난임 부부를 위한 국가 지원사업들에 남성을 포함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며 "사회적 차원에서 자녀가 없는 난임 부부에 대해 비정상을 갖거나 난임 남성에 대해 남성성의 위협으로 바라보는 인식을 개선해 난임 남성들이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