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환 샘의 대학입시/진로진학 결정적 코치-시즌3
2025년부터 새로운 교육과정 전면 시행
암기 위주에서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요구
IB는 글로벌 역량 중심의 국제 교육 프로그램
내년 2025년부터 2022년에 개정된 교육과정이 전면 도입되면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가장 바람직한 대입정책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이 교육계의 핫 이슈다. 소위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시행되면 기존의 학생부교과전형과 수능 중심 대입제도가 교육과정의 철학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국제적으로 검증된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국제 바칼로레아) 교육’이 다양한 대입 정책 중 하나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 국제바칼로레아 교육학회’에서는 2024년 11월 22일 서울대학교에서 IB 교육의 방향을 다양한 측면의 연구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미래 역량의 방향과 좌표를 마련하고자 ‘AI 시대 공교육의 방향과 미래 인재 역량 교육’을 주제로 포럼을 주최하기도 했다. 필자는 개인적으로 작년에 제주에서 유일하게 국제바칼로레아를 도입한 표선고등학교서 강의하고 난 뒤 이 학교의 IB 교육과정에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실제로, 이 학교의 IB 교육과정이 현 대입 전형에 불리할 수 있다는 교육계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표선고등학교는 2024학년도 대입에서 ‘개교 이래 최고 성과’를 거두었다.
도대체 국제바칼로레아 교육, 혹은 IB 교육이 무엇일까? 이게 우리 교육을 정말 획기적으로 바뀌게 할까? 이에 대한 학생들의 대비책은 무엇일까?
2025년부터 새로운 교육과정 전면 시행
암기 위주에서 사고력,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요구
IB는 글로벌 역량 중심의 국제 교육 프로그램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대입제도의 불일치
2022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 주도적 학습,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 융합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미래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새 교육과정은, 과거의 지식 전달 및 암기 위주 교육의 대안으로, 학생들의 창의력, 사고력,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기 위해 학생 흥미와 희망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고, 과정 중심 평가를 도입하며, 학습 방향을 획일적이고 하향식 지식 전달에서 학생 개인 역량을 키우는 방향으로 전환하려는 의도가 뚜렷하다. 그러나 현재 대입제도는 여전히 정량적 평가에 치중되어 있다. 특히 수능과 학생부교과전형은 상대평가와 단순 점수 경쟁을 유도하며, 학생들이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학습을 실천하기 어렵다. 이러한 괴리를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대입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기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이 바로 IB 교육이다.IB, 대입제도의 새로운 가능성으로 등장
IB는 스위스 제네바의 국제학교와 국제학교협회가 주도하고 유네스코가 협력해서 1976년부터 시작한 교육제도다. 현재 전 세계 160여 개국에서 운영되는 국제 교육 프로그램으로,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글로벌 역량을 키우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IB의 교육 철학과 방식은 우리나라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높은 연관성을 보여주며, 미래지향적 대입제도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IB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공통점
①과정 중심 평가 IB는 결과뿐 아니라 학습 과정을 중시하며, 학생의 탐구 능력과 사고력을 평가한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과정 중심 학습과 동일한 철학을 공유한다. ②다양한 과목 선택과 융합적 학습 IB는 학생들이 언어, 과학, 수학, 인문사회,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과목을 선택해 학문 간 융합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목 선택 확대와 긴밀히 연결된다. ③창의적·비판적 사고력 배양 IB의 핵심 과목인 ‘지식이론(ToK: Theory of Knowledge)’과 ‘창의성·활동·봉사(CAS: Creativity, Activity, Service)’는 학생들이 지식을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실질적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도록 돕는다. 이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지향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와 일치한다. ④글로벌 역량 강화 IB는 전 세계적 관점을 바탕으로 학습을 설계해 학생들이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는 대한민국 학생들에게 국제적 경쟁력을 제공하는 데 유리하다.IB 도입의 기대 효과
IB를 대입제도에 반영할 경우,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할 수 있다. ①학습의 본질 회복 학생들은 단순히 시험 점수를 위한 암기식 학습에서 벗어나, 자신의 진로와 흥미에 맞춘 깊이 있는 학습을 경험하게 된다. ②창의성과 다양성 존중 IB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과정을 평가하며, 정량화된 점수로는 평가할 수 없는 창의성과 잠재력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③평가의 형평성과 국제적 표준화 IB는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평가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고교 간 학력 격차로 인한 형평성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또한, 해외 대학 진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유리한 제도로 작용한다.IB 도입을 위한 과제
IB를 국내 대입제도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도 분명히 존재한다. ①교사 역량 강화 및 인프라 구축 IB 교육을 담당할 교사 양성과 학교 시설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IB는 교사의 전문성과 학생 중심의 학습 환경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할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 ②국내 교육 환경과의 조화 IB의 도입이 고교 교육 현장과 대입제도에 어떻게 조화롭게 녹아들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IB가 특정 계층이나 학교에만 국한되지 않도록 공교육 체계 전반에 걸쳐 형평성을 확보해야 한다. ③사회적 공감대 형성 IB 도입은 단순히 평가 방식을 바꾸는 것을 넘어, 대한민국의 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정부, 교육 현장, 학부모 간의 공감대 형성과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결론: IB, 대입제도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대입제도를 넘어, 학생의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체계가 필요하다. IB는 그 철학과 평가 방식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과 높은 호환성을 가지며, 미래지향적 대입제도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IB 도입에 대해서 각 시도 교육청은 찬성하는 입장이지만, 정부와 교육부는 시기상조라는 분위기가 강하며, 교사와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찬반 의견이 반반으로 대립 중이라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B의 도입은 단순히 대입제도를 변화시키는 데 그치지 않고, 대한민국 교육의 본질적 전환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다. 이제 대한민국 교육은 IB와 같은 혁신적 평가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민하며, 학생들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존중하는 대입제도로 나아가야 할 때다.저작권자 © CIVICNEWS(시빅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