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권 내내 제창 여부를 둘러싸고 큰 논쟁을 빚었던 <임을 위한 행진곡>이 오는 5·18 기념식에서 제창된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5·18 기념일이 정부 기념일로 지정된 1997년부터 이명박 대통령 취임 첫 해인 2008년까지 참석자 전원이 부르는 제창 형식으로 불렸다. 하지만 2009년부터 보수 단체의 반발에 제창이 아닌 원하는 사람만 부르는 합창 형식으로 바뀌었다.
이후 5·18 관련 시민단체들은 지속적으로 국가보훈처에 '제창'을 요구를 했지만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도 바뀌지 않았다. 특히 ‘보수 중의 보수’로 불린 박승춘 보훈처장이 국론 분열의 우려가 있다고 고집하면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제창되지 못했다.
문 대통령은 선거 유세 기간인 지난 3월 광주를 찾아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 기념곡으로 만들겠다는 5·18 관련 공약을 내놓은 바 있다. 당시 문 후보는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임을 위한 행진곡>의 주인공인 고 윤상원 열사와 박기순 열사의 묘 앞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기도 했다.
문 대통령의 광주 공약에는 △5·18 민주화운동 정신 헌법 전문 수록, △<임을 위한 행진곡>의 5·18 공식 기념곡 지정, △국가 차원의 5·18 진상 규명위 구성 및 5·18 정신 훼손 엄벌, △발포 명령자·헬기 기총 소사 등 진상 규명, △5·18 관련 자료 폐기 금지 특별법 제정 등이 포함됐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보훈처 한 관계자는 “기본적인 구성은 있지만 어떤 공연을 할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인지 합창인지 등 그런 방법들이 여러 가지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소식에 네티즌들도 다양한 의견을 내고 있다. 트위터 아이디 win*****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마음껏 부를 수 있다니 행복하다..”고 말했다. kon***는 “뭐가 무서워서 임을 위한 행진곡도 못 부르게 한 거냐?”고 묻기도 했다. syri****는 “민주주의의 고난과 염원이 깃들어 있는 전 국민의 노래”라며 “일부 수구 꼴통들은 북한을 찬양하는 노래라고 선동하고 싶겠지만”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kdj1****는 “임을 위한 행진곡 자체가 애국가를 거부하는 의미의 노래라 거부감이 드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