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으로 취직하면 입사 후 퇴직까지 일반 회사원보다 최대 7억 8058만 원의 임금을 더 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경제에 따르면, 29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공무원 시험이 퇴직 전 누계 소득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공무원 시험 준비로 인한 기회비용을 감안하더라도 정부 기관에 취직한 사람이 퇴직 전까지 받는 누계 소득 기대치는 민간기업 취업자보다 최대 7억 8058만 원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민간 기업체의 규모에 따라 누계 소득에 차이가 있었다. 공무원의 누계 소득은 근로자 수 1~49명의 소기업 취업자보다는 최대 7억 8058만 원이 많지만, 300~999명의 중견기업 취업자보다는 최대 4억 8756만 원 많았다. 하지만 1000명이 넘는 대기업 취업자보다는 누계 소득이 6875만 원 적었다. 즉, 공무원들은 대기업을 제외한 민간기업의 중견·중소업체 취업자들보다는 더 많은 누계 소득을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이처럼 공무원들의 누계 소득이 높은 이유는 뭘까. 보고서는 그 이유로 높은 임금 인상률과 늦은 퇴임 시점을 꼽았다. 공무원 임금 인상률은 연평균 약 7%대로 대기업(6.2%)보다 높고, 공무원 퇴임 연령 역시 평균 56~59세로 대기업 평균인 52세보다 높기 때문이라는 것.
금전적 측면에서도 공무원이 민간 기업체보다 낫다는 연구 결과에 네티즌들은 다양한 의견을 보였다. 특히, 공무원의 임금이 높은 것이 아니라 대기업을 뺀 일반 민간기업의 임금이 적은 현실을 꼬집는 의견이 빗발쳤다.
직장인 이모(27) 씨는 “월 200만 원도 못 버는 일자리와 비교하니 공무원이 많아 보이는 것”이라며 “민간 부분 대부분 일자리의 임금이 너무 낮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기업, 대기업이 아닌 일반 회사를 다녀도 먹고 살 수 있는 상향 평준화된 세상이 돼야 할 것 아니냐”고 쓴소리를 내뱉었다.
한 네티즌도 “공무원 월급이 많다고 깎아내릴 것이 아니라 민간 기업 직장인들의 월급을 더 줘야 한다”며 “민간 회사 임금 체계에 손을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공무원 월급이 많아봤자 서민 인생”이라며 “중소기업은 항상 사람 없다면서도 월급은 적게 주고 능력은 대기업 수준으로 요구하더라”고 씁쓸함을 내비쳤다.
한편, 전문가들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무원 준비에만 매달리지 않을 것을 조언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윤상호 한경연은 연구위원은 “7ㆍ9급 및 공무원 관련 시험 준비 경험자 중 정부 취업률은 약 10%에 불과하므로 공무원 시험 준비생은 민간 기업체 취직도 함께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 위원은 이어 “민간 기업체보다 과도하게 설정된 정부의 보수 체계를 시급히 조정해 합리적 인적 자본 배분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