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영남권) 신공항 유치가 발표일을 8일 남긴 가운데, 부산시와 시민들이 신공항 유치를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대규모 궐기대회를 개최하는 한편, 지역 시민사회단체도 성명을 발표하는 등 부산은 신공항 유치 활동에 발벗고 나섰다.
지난 14일, 부산 중구 광복로에서는 ‘가덕 신공항 유치 범시민 궐기 대회’가 열렸다. 이 대규모 궐기대회는 김해공항 가덕 이전 시민추진단과 가덕신공항 추진 범시민운동본부가 주최해 신공항의 사전 타당성조사의 불공정성을 규탄하는 취지로 열렸다. 궐기대회가 열린 광복로에는 주최 측 추산 시민 3만여 명이 모여 부산 시민들의 가덕 신공항에 대한 열망을 표출했다.
또 부산 곳곳에서 여러 단체들이 나서 가덕 신공항 유치를 촉구하는 모임을 잇따라 열고 있다. 6월 들어서만 부산 지역 여성단체 5개 협의체 단체회원 120명의 신공항 입지 선정 촉구 결의 다짐 행사, 부산 지역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들의 지지 결의 대회, 청소년활동진흥센터, 아동복지협회, 청소년수련시설협회의 결의 대회가 각각 연이어 열렸다, 이에 앞서 지난 5월엔 부산 상공인들의 ‘가덕 신공항 유치 기원제’에 이어 부산광역시 새마을회 등 3대 국민운동단체도 신공항 성공 기원에 발 벗고 나섰다. 3대 국민운동단체는 “24시간 운영 가능한 국가안보 차원의 동남권 신공항 입지는 가덕 해안이 최적지”라고 한 목소리를 냈다.
해외 여러 도시들도 부산시를 응원하고 나섰다. 부산과 자매도시를 맺고 있는 일본 후쿠오카 시는 다카시마 소이치로 시장이 동영상 응원을 보내기로 했고, 시모노세키 시는 국제과 직원들이 응원 메시지를 SNS를 통해 보내기로 했다. 미국의 LA, 시카고, 독일 함부르크의 부산 출향 인사들도 외국 유명 항공 역시 넓은 평지이거나 바다를 매립해 공항을 건설하는 것이 상식이라며 신공항 건설을 지지하는 서한을 보내왔다.
부산 시민들은 밀양 공항은 절대 불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일주일에 한 번 꼴로 서울로 출장을 가는 채원국(47, 부산시 북구) 씨는 “밀양공항이 생기면 김해공항이 폐쇄된다는데 말도 안 된다”며 “밀양까지 가서 비행기를 탈 수도 없고, 결국 KTX를 타야 되는데 생각만 해도 괴롭다”고 말했다. 고향이 경북 청도인 대학생 최병헌(24, 부산시 영도구) 씨는 “내가 생각해도 밀양 공항은 적지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최 씨는 “김해공항은 부산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데 밀양에 만들면 부산 사람도 멀어서 안 올 거고 그렇다고 경북 사람들이 그만큼 이용할지도 알 수가 없지 않냐”고 되물었다.
하지만, 영남권 5개 시도는 신공항 유치지 선정을 놓고 치고받는 난타전 중이다. 부산은 신공항 용역조사의 평가 항목 선정이 불공정하다며 연일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현재 국토교통부의 의뢰를 받은 ADPi(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가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평가를 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7일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산시 김영춘, 최인호, 김해영 국회의원이 평가항목에서 고정장애물(산봉우리)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며 긴급 기자회견을 가졌다. 이들은 고정장애물 평가항목 제외가 “공항 안정성을 무시한 특정 지역 손들어 주기”라고 주장했다.
반면 대구, 경북, 경남, 울산 등 4개 단체장들은 14일 밀양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부산의 자제를 촉구하는 한편 정치권이 이 문제에 개입하지 말 것을 주장하고 나섰다.
한편, 부산이 독립 평가항목에서 누락됐다고 주장하는 고정 장애물은 산이나 건축물을 말하는데, 2011년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밀양 부지는 27개 가량의 산봉우리를 절단해야 공항을 건설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가항목이 ‘고정 장애물’이 아닌, 항공기의 비행 안전을 해치지 않는다고 인정되면 고도 제한의 적용을 제외하는 ‘항공학적 검토’로 대체되면서 없애야 할 27개의 산봉우리가 4개로 줄어들었다. 이런 이유로 정권이 이미 밀양으로 후보지를 정해놓은 게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가 흘러 나오고 있는 것.
이런 가운데 항공 전문가들도 밀양이 신공항 후보지로는 적격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주장하고 나서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 13일,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회는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과 관련된 성명을 발표해 밀양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밀양은 산봉우리 문제 외에도 공항의 돌풍 현상과 확장성, 환경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를 안고 있다는 것이다.
항공기의 날개 끝에서 발생하는 와류(돌풍) 현상이 분지인 밀양에서는 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항공기의 와류 현상이 일어난 후 다음 항공기가 이착륙하려면 돌풍이 사라지기를 기다려야 하는데, 이 현상이 심해지면 대기시간이 늘어나고, 결국 하루에 비행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든다는 것. 이 대학 이대우 교수는 "분지는 와류 소멸시간이 길어져 슬롯(시간당 활주로 용량)이 줄어들어 공항 기능 타격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또 신공항이 완성인 10년 뒤에는 항공기술의 발달로 대형 항공기 기종이 늘어나기 때문에 활주로 수와 길이의 확장성이 보장돼야 한다며 밀양은 공간적 제약으로 평행 활주로 확장성의 한계가 있다고 밝혔다. 이들 교수진은 밀양 공항이 생기고 김해 공항이 폐쇄되면 부산 시민뿐 아니라 대구 시민 역시 밀양을 이용할 확률이 낮을 것으로 내다봤다. 또 서울행 국내선은 개설 자체가 어렵다고 예측했다.
<동남권 신공항 추진 일지>
▲2006년 12월 노무현 대통령, 신공항 공식검토 지시
▲2007년 3월 국토연구원, 신공항 건설여건 검토용역 착수
▲2008년 9월 정부, 동남권 신공항 30대 국책사업 선정
▲2011년 3월 신공항입지평가위 "가덕도·밀양, 신공항 경제성 미흡·환경 훼손" 주장
▲2011년 4월 이명박 대통령 신공항 백지화 발표
▲2012년 12월 박근혜 새누리당 대선후보 신공항 대선공약 포함
▲2013년 4월 국토부 업무계획에서 신공항 추진 발표
▲2014년 8월 국토부, 영남지역 항공수요조사 연구 용역결과 발표
▲ 2015년 6월 신공항 사전타당성검토 연구용역 계약 체결, 교통연구원·ADPi 컨소시엄
▲2016년 2월 사전타당성검토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 2016년 5월 평가항목·배점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