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2024-11-01 16:59 (금)
능동적 이미지의 장애인표지판 먼저 만들고도 방치한 한국
상태바
능동적 이미지의 장애인표지판 먼저 만들고도 방치한 한국
  • 취재기자 조은서
  • 승인 2016.06.24 11:28
  • 댓글 3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욕시 2014년 새 표지판 채택, 한국은 2002년 만들고서도 사용 외면해 대조
2014년 7월, 뉴욕에서는 한 교통 표지판으로 인해 작지만 큰 변화가 일어났다. 기존 장애인 표지판의 디자인을 바꿈으로써 사람들의 인식 변화에 한 획을 그은 것이다. 쭉 뻗은 굳은 팔과 휠체어 이미지의 기존 장애판을뉴욕시는 ‘뻣뻣함’을 던져버리고 팔은 뒤쪽으로 향해 휠체어를 밀며 힘차게 앞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의 모습이 담긴 이미지로 장애인 표지판의 디자인을 바꾸었던 것. 그러나 한국은 이미 뉴욕보다 훨씬 이른 2002년에 KS(한국산업규격)에 등록된 비슷한 문양의 장애인 마크를 만들었다. 이 마크는 뉴욕의 장애인 표지판과 흡사한 모습으로 능동적인 모습을 그려냈다. 그러나 이 표지판이 쓰이는 곳을 도무지 찾아볼수 없다는 것이 문제다. 일반인들에게 장애인 표지판의 모양이 두가지인 사진을 보여 주며 이 사실을 아느냐고 물어 보았다. 부산의 한 대학생 김아람(23) 씨는 “현재 느낌은 분명 두 가지가 확 다른데, 이 표지판(KS지정표지판)을 쓰는 곳은 한 번도 못봤다. 실제로 본 것은 지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 한국의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의 장애인 마크(사진: 성운장애인편의시설)
우리나라에선 ISO(국제표준기구)와 KS가 지정한 표지판을 이용하는데, 장애인 표지판의 경우 둘 다 사용할 수 있지만 수동적으로 휠체어에 앉아 있는 모습인 ISO의 표지판만 대부분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부산의 장애인 K(26) 씨는 “나는 장애인이라 KS 표지판을 이미 알고 있다. 표지판을 바꾸는 작은 시도로도 장애인에 대한 인식 변화에 도움이 될 텐데 잘 쓰이지 않고 있어서 아쉽다”고 말했다. 앤드류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당시 언론과의 기자회견에서 “장애인 권리를 위한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라며 "장애인도 똑같은 사람으로서 더 이상 수동적인 존재로 보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은 훨씬 일찍 새 표지판을 채택해놓고도 실천이 미미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장애인 전용 주차장에선 KS의 마크를 도무지 찾아볼 수 없다.
▲ 주차장에서 널리 쓰이는 장애인표지판.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수동적인 이미지로 묘사돼 있다(사진: 장애인아이콘프로젝트페이스북).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나이스2204 2016-07-03 23:47:05
확실히 능동적 이미지가 보기 좋네요.
만들어놓고도 쓰지 못하는 우리의 행정력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앞으로는 좀 개선돼서 능동적 이미지로 바뀌었으면 좋겠네요.

김수정 2016-06-29 21:26:14
표지판에서 장애인을 좀 더 능동적인 대상으로 표현한만큼 표지판을 바꾸는 일 또한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 노력해야할 것 같네요. 좋은 기사입니다.

조수연 2016-06-29 12:01:50
이런 표지판이 있는 줄도 몰랐네요.. 그냥 지나치곤 했는데 왜 안쓰는지를 비판하기 보다 제 자신 먼저 이런 일들에 관심을 가져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