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최종 목표였던 위성모사체 궤도 안착 실패... 하지만 누리호 발사는 성공
‘누리호’, 위성모사체를 지구저궤도에 안착시키는 것만 미완의 과제로 남아
3단 장착된 액체엔진... 목표한 521초가 아닌 475초에 조기 종료된 것이 문제
한국의 우주 기술이 한 걸음 더 나아갔다. 한국이 국내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한 첫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우주를 향해 날아올랐다. 최종 목표였던 위성모사체(더미 위성)의 궤도 안착은 실패했지만, 누리호 발사에는 성공을 거두며 세계 7대 우주강국 실현에 한 발짝 다가서게 됐다.
지난 21일 오후 5시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한 누리호는 전 비행 과정을 정상적으로 수행했다. 위성모사체를 지구저궤도에 안착시키는 것만이 미완의 과제로 남은 것이다.
거대한 수증기를 내뿜으며 발사대를 박차고 날아오른 누리호는 발사 4분 만에 1단 엔진과 페어링(위성 덮개)을 차례로 분리했다. 2단 엔진도 정상적으로 분리됐다. 이후 3단 엔진의 추진력으로 인공위성 투입 고도인 지상 700km 인근까지 비행에 성공한 누리호는 싣고 있던 위성모사체를 분리하는데 성공했으나 위성모사체를 지구저궤도에 안착시키는 것에는 실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단 엔진이 조기 연소 종료돼 고도 700km의 목표에는 도달했으나 7.5km/s의 속도에는 미치지 못해 지구저궤도에 안착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항공우주연구원의 분석 결과, 누리호는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수행됐으나, 3단에 장착된 7t급 액체엔진이 목표한 521초 동안 연소되지 못하고 475초에 조기 종료된 것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누리호 1차 발사는 아쉬움을 남겼으나 국내 독자 개발 발사체의 첫 비행 시험으로서 주요 발사 단계를 모두 성공적으로 끝마치고, 핵심기술을 확보했음을 확인하는 것에 의의를 남겼다.
누리호 1단부는 75t급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 돼 300t급의 추력을 내는 핵심기술이 적용됐으며, 1차 발사를 통해 1단부 비행이 정상적으로 진행됐음을 확인했다. 또한, 1단과 2단, 페어링, 3단의 성공적인 분리와 점화를 통해 단 분리 기술을 확보한 점도 소기의 성과로 꼽았다. 이는 국내에 상당 수준의 발사체 기술력이 축척됐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과기정통부는 항우연 연구진과 외부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발사조사위원회’를 즉시 구성해 3단 엔진 조기 종료의 원인을 정확히 규명하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2차 발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임혜숙 장관은 “누리호 발사에 아낌없는 격려와 지속적인 성원을 보내주신 국민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며 “오늘의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해 나가면서 우주를 향한 도전을 멈추지 않고 우주 강국의 꿈을 이루게 되는 날까지 계속 나아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