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교대생, "현장 사정 고려 않은 임기응변식 대책"...일부 학부모는 "수업 질 높아질 수도" / 신예진 기자
정부의 교원 임용 축소 방침에 교대생들의 비판이 쏟아져 나오는 가운데, 교사 선발 인원 늘리기용 방안으로 내놓은 ‘1수업 2교사제’에 대해서도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 3일 교육부는 전국 2018년도 공립 초등교사 선발 예정 인원을 올해 보다 무려 40%가량 적은 3321명으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지난해 846명이었던 선발 인원을 8분의 1 수준으로 대폭 줄인 105명으로 책정했다.
이 같은 임용 절벽을 놓고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조희연 서울 교육감은 초등 임용 절벽과 관련해 ‘1수업 2교사제’ 조기 도입을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수업 2교사제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내놓은 정책으로 초·중학교 수업에 정교사 외에 한 명의 보조 교사를 더 투입하는 정책이다. 학생 간 학력 격차가 큰 주요 과목에 2명의 교사를 배치하겠다는 것이다. 보조 교사로는 정교사인 학습 지원 전문 교사, 기간제 교사, 시간 강사, 임용 시험 합격 후 대기자 등을 활용한다. 정부는 1수업 2교사제를 현장에 도입하면 ‘1 대 1’ 맞춤 수업을 하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사교육 부담을 줄이 수 있다고 홍보해 왔다.
조 교육감의 조기 도입 제시에 교대생들은 또 다시 반발했다. 한 수업을 교사 2명이 동시에 진행하면 학생들이 혼란스러울 수 있고 비정규직 강사를 양산할 가능성이 있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이유다.
이 같은 정부의 임기응변적인 대책에 전국교육대학생연합은 지난 11일 서울광장에서 ‘전국 교대생 총궐기’ 집회를 열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이들은 단기적인 대책이 아닌 중장기 교원 수급 계획을 촉구하며 학급당 학생 수를 OECD 평균 수준으로 감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대안을 제시했다.
사실 교대생들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도 ‘1수업 2교사’ 정책에 우려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현직 교사들은 현재 교사들이 담당하는 업무가 광범위해 업무를 주교사와 보조교사로 세분화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는 것이다.
교사들은 수업을 잘 따라오지 못하는 아이들에 대해선 일정 부분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교실에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더 크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교사의 권한과 업무를 나누는 기준이 없고 실상 분담 자체에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는 것이다.
서울지역 교사 김모(33) 씨는 “아이들을 상대하다보면 순간적인 판단이 중요할 때가 있다”며 “그 때마다 보조교사가 정교사에게 상황을 공유할 수도 없는 노릇”이라고 비판했다.
또 다른 교사 한모(40) 씨는 학생들의 분열을 걱정한다. 한 씨는 “교사들에 대한 아이들의 편가르기가 시작되면 반 분위기는 어떻게 잡냐”며 “아이들이 주담임보다 부담임을 더 따를까 싶어 아이들의 환심을 사려 노력이라도 해야하냐”며 답답함을 표했다.
하지만 일부 학부모들은 1교실 2교사제를 반긴다. 교사가 학생 한명에게 관심을 줄 시간이 늘어난다는 이유다. 초등학생 딸을 둔 학부모 이모(34) 씨는 “아이가 학교에 갓 입학했을 때 적응을 못하는 것 같아 불안했다”며 “교사가 두 명이면 손이 많이 가는 저학년 학생들을 꼼꼼히 관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믿음이 있다”고 말했다.
또 학부모 박모(40) 씨는 “보조교사가 들어오면 정교사들에게 자극제가 되어 교육의 질이 높아질 것 같다”며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한편, 이번 사태에 대한 대책은 이달 말이나 시험공고일인 다음달 14일 전에는 나올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대책에 교육계가 어떤 반응을 보일지 관심이 모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