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활동공간의 17%인 2,459곳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되는 등 어린이 생활환경 보호에 또다시 빨간불이 켜졌다. 이미 국가적으로 최근 '가습기 살균제 사태,' '메탄올 물티슈 사태' 등으로 어린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 사태로 한바탕 홍역을 치른 뒤라 더 큰 파장이 예상된다.
환경부는 소규모 어린이 활동공간 1만 4,053곳을 대상으로 한 '2016 환경안전 진단' 결과, 2,459곳(17.5%)에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는 등 환경보건법상 환경안전 관리기준에 부합하지 못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환경안전 진단은 환경안전기준 준수 여부를 평가해서 해당 시설 개선을 이끌기 위해 2009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번 진단은 2009년 3월 22일 이전에 설치된 어린이 활동공간 중 전체 면적 430㎡ 미만의 사립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지난해 어린이 활동공간 1만 4,053곳의 환경안전 진단 결과, 도료 및 마감재에서 중금속 함량이 초과한 시설은 전체 5.8%인 818곳으로 드러났으며, 이 중 97%인 794곳이 납 기준을 초과했다. 보육실 등 실내 활동공간에서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폼알데하이드를 분석한 결과, 13.5%인 1,763곳에서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이 기준 이상으로 검출된 어린이집이 많다는 소식에 학부모들도 불안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주부 정현정(30) 씨는 "최근 생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나왔다는 뉴스가 잦아 걱정인 마당에 어린이들이 주로 머무는 공간에서조차 유해물질이 기준을 초과한다니 걱정"이라며 "어린 아이를 키우고 있는 처지에서는 더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환경부는 진단 결과에 따라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시설에는 빠른 개선을 요구하는 한편, 유해물질 검출이 특히 많은 301곳에는 기존 마감재를 친환경 벽지나 장판 등으로 교체하는 시설 개선 지원을 병행했다고 밝혔다. 또, 환경부는 이번 진단 결과를 해당 시·도와 교육청에 통보해 점검에 나설 것을 독려했다. 이와 함께 환경보건법이 적용되는 내년부터는 기준 미달 시설을 중심으로 개선 여부를 확인해 개선이 안 된 곳들은 개선명령 또는 정보공개, 고발 등 엄중 조치에 나서기로 했다.
서흥원 환경부 환경보건정책과장은 “전국의 모든 어린이 활동공간이 환경적으로 안전하도록 지자체, 교육청 등 감독기관이나 관련 단체와 협력하여 환경안전 점검과 진단·교육·홍보·환경안심인증 확대 등 다양한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마음이 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