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1·2기 신도시 안전여건 고려 못해 보행자 사고 분석
"교통약자별 사고 발생 특성 차이 고려한 교통안전 대책 필요"
경기도의 보행자 교통사고 중 어린이 사고보다 노인 사고가 2배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5년간의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를 재분석하고, 교통약자별 통행 특성에 따른 안전대책을 제시하는 ‘교통약자를 위한 더 안전한 신도시 만들기’ 보고서를 28일 발간했다.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발생한 경기도 보행자 교통사고는 4만 9221건으로, 어린이 보행자 교통사고는 4278건, 노인 보행자 교통사고는 1만 974건으로 노인이 어린이보다 약 2.6배 발생한 사고가 많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도내 신도시로 한정해 보행자 교통사고를 분석했다. 1기 신도시는 총 4333건으로 그중 노인은 890건, 어린이는 313건이 발생했다. 2기 신도시는 총 2091건으로 그중 노인은 334건, 어린이 300건으로 1기 신도시가 2기 신도시 보행자 교통사고보다 자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의 운행 속도 및 통행을 제한하는 어린이보호구역은 1995년, 노인보호구역은 2007년에 도입됐다. 경기연구원은 1980년대 후반 추진된 1기 신도시와 2000년대 초반 추진된 2기 신도시가 안전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해 보행자 교통사고가 발생한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 인구 1만 명당 어린이 보호구역은 1기 신도시는 10.9개소, 2기 신도시는 6.1개소이고, 노인 보호구역은 1기 0.6개소, 2기 0.4개소로 어린이 보호구역보다 현저히 부족하다.
이에 경기연구원은 보행자 교통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교통약자 보행 안전을 우선한 신도시 조성 추진 전략을 내세웠다. 신도시 조성 추진 전략에는 도시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보행축 우선 계획, 도로 횡단 최소화하는 안전보행 계획 수립, 교통약자별 특성 고려한 도로 환경개선과 보호구역 운영, 교통안전시설 효율적 유지 및 관리의 지침 마련과 담당자 교육 등의 대책이 포함된다.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교통약자별 교통사고 발생 특성 차이를 고려한 차별적인 교통안전 대책이 필요하다”며 “향후 교통약자가 안전하게 보행하려면 보호구역에 한정된 교통안전 대책이 아닌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한 안전대책이 중요하다”고 전했다.